구글 블로그스팟 하위도메인 등록방법, 가비아 CNAME DNS설정

구글 블로그스팟 하위도메인 등록 방법 정리했습니다. 구글 블로그스팟 서브도메인을 등록할 때는 본인이 이용하고 있는 서버에 DNS레코드를 설정해야 합니다. 가비아 네임서버를 이용하는 경우 구글 블로그스팟 하위도메인 등록하는 방법 살펴보겠습니다.

구글 블로그스팟 하위도메인 등록 순서

애드센스를 하는 경우 서브도메인 등록을 통해 수익을 확장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위도메인으로 많이 등록하는 블로그는 티스토리, 구글 블로그스팟, 워드프레스입니다.

하위도메인 등록을 위해 DNS레코드를 추가해야 하는데 본인이 이용하는 서버에 등록해야 합니다.

가비아에서 도메인 구입을 한 뒤 가비아 네임서버를 이용하는 경우는 가비아에서, 패스트코멧 또는 클라우드웨이즈를 사용하는 경우는 해당 서버사이트에서 하위도메인 설정을 진행합니다.

구글 블로그스팟 하위도메인 등록 순서

  1. 구글 블로그스팟 맞춤도메인
    – CNAME 레코드, 호스트 값 확인
  2. 가비아 DNS 레코드 추가
  3. 구글 블로그스팟 맞춤도메인 저장

구글 블로그스팟 하위도메인 등록 순서는 구글 블로그스팟 설정 페이지에서 맞춤도메인 설정을 진행합니다.

블로그스팟 맞춤도메인 설정 시 부여 받은 CNAME 레코드, 호스트 값을 확인한 뒤 가비아, 패스트코멧, 클라우드웨이즈에 레코드 추가를 진행합니다.

1. 구글 블로그스팟 맞춤도메인 설정하기

블로그스팟에 로그인 한 뒤 설정 메뉴를 선택하고 게시 탭에 있는 맞춤 도메인을 선택합니다. 맞춤도메인 팝업창에 하위도메인을 넣은 뒤 아래 저장 버튼을 선택하면 빨간색으로 CNAME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도메인에 대한 권한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도메인 등록기관의 웹사이트에서 DNS(도메인 이름 시스템) 설정을 찾아 다음의 CNAME 2개를 입력하세요. (이름: aa, 대상: ghs.google.com 및 (이름: 7&&@&*#4z, 대상: gv-ploryckewpdjl.dv.googlehosted.com).

위의 메시지를 통해 CNAME 정보 두 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정보를 DNS레코드로 추가하기 위해 메모장에 복사하여 붙여넣기 해 둡니다.

CNAME 1
이름: aa
대상: ghs.google.com

CNAME 2
이름: 7&&@&*#4z
대상: gv-ploryckewpdjl.dv.googlehosted.com

2. 가비아 CNAME 레코드 추가

가비아에서 도메인을 구입하고 가비아 네임서버를 이용한다면 가비아에서 DNS레코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가비아 네임서버를 이용하는 경우 구글 블루그스팟 하위도메인 설정하는 방법 살펴보겠습니다.

1. 가비아 DNS설정 메뉴 선택하기

  • My가비아 > DNS관리툴 > DNS설정
블로그스팟 하위도메인 등록 가비아

가비아 사이트에 로그인 한 뒤 My가비아를 선택한 뒤 이용 중인 서비스 화면에서 DNS 관리툴 메뉴를 선택합니다.

가비아 dns 설정

하위도메인을 연결할 사이트 앞에 체크박스를 선택한 뒤 DNS 설정 버튼을 선택합니다.

2. DNS레코드 추가하기

DNS설정 화면 하단에 있는 레코드 추가 버튼을 선택한 뒤 구글 블로그스팟 맞춤도메인 설정 시 복사 해둔 CNAME 정보를 추가합니다.

블로그스팟 CNAME 등록

첫번째 CNAME 레코드 타입은 CNAME으로 선택하고 호스트는 서브도메인 맨 앞에 붙는 이름입니다. 예를들어 하위도메인 이름이 aa.subsite.com인경우 aa가 호스트명이 됩니다.

값/ 위치는 구글 블로그스팟에서 확인한 ghs.google.com을 입력하고 TTL은 600 또는 1800으로 설정하고 저장합니다.

두번째 CNAME 레코드 타입은 CNAME으로 선택하고 호스트는 복사해 둔 정보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값/위치는 복사해 둔 정보의 “대상” 값을 입력하고 (예: gv-ploryckewpdjl.dv.googlehosted.com) TTL은 600 또는 1800으로 설정한 뒤 확인 버튼을 선택합니다.

블로그스팟 cname 등록 가비아

호스트명을 입력할때는 com뒤에 받드시 . 을 찍어줘야 합니다.

예)
ghs.google.com.
gv-ploryckewpdjl.dv.googlehosted.com.

3. 구글 블로그스팟 맞춤도메인 저장하기

가비아에서 DNS레코드를 추가한 뒤 블로그스팟 페이지로 돌아와서 맞춤도메인 팝업창 저장버튼을 다시 한번 누릅니다.

구글 블로그스팟 맞춤도메인 설정

이 도메인에 대한 권한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빨간색으로 표시 되었던 메시지가 사라지고 하위도메인으로 도메인 명이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블로그스팟 맞춤 도메인을 설정한 뒤에는 아래 HTTPS 탭에 있는 HTTPS 사용 여부와 HTTPS 리디렉션 버튼을 활성화 합니다.

구글 블로그스팟 https 설정

HTTPS 사용 여부와 HTTPS 리디렉션 버튼을 활성화해두면 하위도메인으로 접속할때 보안 접속이 가능합니다.

HTTP vs HTTPS 차이점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및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는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HTTP는 데이터를 일반 텍스트로 전송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가로채기와 공격에 취약하며 포트 80을 사용합니다.

반면에 HTTPS는 TLS/SSL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안전한 통신을 보장하고 포트 443을 사용합니다. HTTPS는 웹사이트 인증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합니다.

✔︎ HTTP vs HTTPS

  1. 보안: HTTP는 암호화되지 않지만 HTTPS는 데이터를 암호화합니다.
  2. 성능: HTTP가 약간 더 빠릅니다. HTTPS에는 암호화 오버헤드가 있습니다.
  3. 신뢰: HTTPS는 디지털 인증서로 서버 ID를 확인합니다.
  4. 데이터 무결성: HTTPS는 변조를 감지하여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합니다.
  5. SEO 및 브라우저 동작: HTTPS는 검색 엔진에서 선호하며 “안전하지 않음” 경고를 방지합니다.

HTTPS는 민감한 정보를 보호하고 온라인에서 사용자 신뢰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구글, 네이버, 빙, 다음 등 대부분의 검색엔진에서는 필수적으로 설정해야합니다. HTTPS 설정이 확인되어야 각 검색엔진에 사이트맵, RSS 등록을 통해 사이트 추가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참고

✔︎ 워드프레스 하위도메인에 애드센스 광고 나오게 설정하는 법

We will be happy to hear your thoughts

Leave a reply

error: 오른쪽 클릭을 할 수 없습니다.
itMac타임즈
Compare items
  • Total (0)
Compare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