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스트코멧 하위도메인 티스토리 설정하는 방법(fastcomet CNAME, A 레코드)

패스트코멧 하위도메인 티스토리 설정하는 방법 알아보겠습니다. 티스토리를 하위도메인을 등록하기 위해서 도메인을 구입한 가비아 사이트에서 DNS레코드를 등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FastComet 패스트코멧을 이용하는 경우 가비아 사이트가 아닌 패스트코멧 사이트에서 DNS레코드를 등록해야 합니다.

패스트코멧 하위도메인 티스토리 DNS설정

FastComet 패스트코멧 하위도메인 티스토리 설정을 하려면 DNS레코드를 등록해야합니다. 티스토리 하위도메인 DNS설정은 CNAME 또는 A레코드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CNAME과 A레코드는 둘 중 하나를 선택하여 등록할 수 있으며 CNAME을 권장합니다. A레코드의 경우 티스토리 서버 IP가 바뀌면 A레코드 값도 수정해줘야 합니다.

만약 서버 IP를 변경하지 하지않으면 블로그 접속이 안되는 일이 발생합니다. CNAME은 티스토리 서버 IP가 변경되는 경우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CNAME 레코드
host.tistory.io

A레코드
27.0.236.139

하위도메인 티스토리 CNAME 레코드 host.tistory.io 이며 A레코드는 27.0.236.139 입니다. DNS 설정 시 티스토리 서버 IP 변경여부 확인은 🔍티스토리 공지글을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패스트코멧 티스토리 CNAME 레코드 등록

✔︎패스트코멧 티스토리 CNAME 레코드 등록 순서
1. cPanel 접속
2. 도메인 > Zone Editor
3. Add Record

1. cPanel 접속

패스트코멧 사이트에 로그인 한 뒤 메인 화면에 있는 Quick Actions 빠른작업에 있는 cPanel 버튼을 선택합니다.

하위도메인 티스토리 27
Quick Actions 빠른작업 > cPanel

2. Zone Editor에서 레코드 추가

DOMAINS 도메인즈 메뉴에서 Zone Editor를 선택합니다. Zone Editor에서 티스토리 하위도메인을 등록할 사이트를 선택하여 Manage 관리 버튼을 선택합니다.

하위도메인 티스토리 49
Zone Editor > Manage 관리

도메인명 끝에 관리 메뉴를 선택한 뒤 오른쪽 상단에 있는 Add Record 레코드추가 버튼을 선택합니다. 새로 생성된 레코드 추가 입력란에 Name, TTL, Type, Record를 입력합니다.

하위도메인 티스토리 52 down
Add Record 레코드추가 버튼
  • Name : 도메인 앞에 붙은 이름
  • TTL : 기본값 14400
  • Type : CNAME
  • Record : host.tistory.io

Name 은 도메인주소 앞에 들어갈 이름을 의미합니다. 예를들어 “ani.subsite.com”이라고 하면 “ani”를 Name에 입력합니다.

TTL은 기본값 14400으로 둡니다.

Type은 CNAME으로 선택합니다.

Record는 티스토리 host.tistory.io를 입력합니다.

Name, TTL, Type, Record를 입력한 뒤 Save Record 레코드 저장 버튼을 선택하여 레코드를 추가합니다.

티스토리 하위도메인 설정

패스트코멧 하위도메인 티스토리 CNAME 레코드 등록 후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 개인 도메인 설정을 진행합니다.

티스토리 관리 메뉴에서 블로그를 선택한 뒤 개인 도메인 설정에서 도메인 연결하기 버튼을 통해 하위 도메인을 입력합니다.

  • 티스토리 관리 > 개인 도메인 설정
하위도메인 티스토리 303 side
관리 > 블로그 > 도메인 연결하기

DNS 설정 및 보안 접속 인증서 확인

하위도메인을 연결하면 DNS 설정정보 및 보안 접속 인증서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DNS 설정정보 확인완료 , 보안 접속 인증서 발급완료가 뜨면 정상적으로 연결 된 것입니다.

하위도메인 티스토리 301

보안 접속 인증서의 경우 바로 완료가 뜨기도 하지만 1시간 ~ 2시간 정도 걸릴 수 있습니다.

한때 티스토리 서버 문제가 있을때는 보안 접속 인증서 완료가 뜨기까지 24시간 하루 이상 걸리기도 했습니다. 요즘은 보안 접속 인증서 발급 완료가 바로 뜨는 추세이긴 합니다.

혹시 티스토리 보안 접속 인증서 발급이 늦다면 티스토리 서버 이슈는 없는지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별다른 이슈가 없이 보안 접속 인증서 발급이 안된다면 티스토리 고객센터에 문의 해보시기 바랍니다.

보안 접속 인증서 발급이 완료되면 블로그 주소가 http:// 에서 https://로 변경됩니다. heeps:// 보안 접속 인증서가 발급 후 구글 서치콘솔 및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등 사이트 등록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참고:

하위 도메인을 등록한 경우 <head></head>태그 사이에 애드센스 광고코드를 넣으면 추가 승인없이 광고송출이 가능합니다.

하위도메인 티스토리 2 down

티스토리 블로그에 광고코드 입력하시고 즉시 광고 게재하시면 빠른 수익 창출을 하실 수 있습니다.

패스트코멧 CS 채팅 적극 활용

패스트코멧 하위도메인 등록 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 FastComet 패스트코멧 CS채팅을 적극적으로 이용 하시길 권장합니다. 패스트코멧 CS는 24시간동안 진행되어 언제든 상담이 가능합니다.


또한 영어를 못하더라도 번역 기반으로 채팅이 가능하기 때문에 한글로 문의를 해도 상대방은 번역하여 확인할 수 있어 대화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먼저 상담할때는 본인의 최종 목적이 무엇인지 제일 밝혀야 문제를 빨리 해결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내가 한 세팅 과정을 구구절절 말할 필요 없이 내가 원하는 결과물을 먼저 제시합니다.

하위도메인 티스토리 60
패스트코멧 CS 채팅시작

예를들어 DNS레코드 설정 관련 문의를 한다면 “나는 내 블로그 주소 대신 하위도메인 주소로 접속하고 싶습니다. 어떻게 설정할 수 있습니까?“라고 말하는 것이 좋습니다.

에러가 났다면 화면을 캡쳐해 전송하면 해당 내용을 쉽게 파악하고 해결해 줍니다.

나의 최종 목적을 상담원에게 먼저 전달하시기 바랍니다. 그러면 상담원은 그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거나 직접 패스트코멧 하위도메인 세팅을 해줍니다.

패스트코멧 상담원은 매우 친절하고 자세하게 도움을 주니 궁금한 점 있으면 편하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참고

워드프레스 하위도메인에 애드센스 광고 나오게 설정하는 법

We will be happy to hear your thoughts

Leave a reply

error: 오른쪽 클릭을 할 수 없습니다.
itMac타임즈
Compare items
  • Total (0)
Compare
0